백제문화제

백제 (百濟)
삼국시대 가장 찬란했던 문화의 발원
백제 22대 문주왕(文周王)이 한강유역 한성에서 지금의 공주 웅진성(熊津城)으로 천도하면서 문화의 전성기를 이룬다. 26대 성왕 16년에 부여(扶餘) 사비성으로 천도하기까지 64年間에 불과하지만 문화와 외교면에서 후대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시기였다. 25대 무령왕(武寧王)이 즉위하면서 황권확립, 민생안정, 국력을 증강시킴으로써 백제중흥의 기초를 다졌으며, 그의 아들 26대 성왕에 이르러서는 학문, 예술, 종교의 안정적인 발전으로 백제왕조의 화려하고도 장엄한 문화는 절정을 이룬다.
올해로 47번째를 맞는 백제문화제는 백제의 고도 공주·부여에 서린 찬란했던 옛 선현들의 얼과 슬기를 드높여 긍지를 높이고 격조높은 백제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1955년부터 개최하였으며 백제문화권의 중심지인 공주시(홀수년도)와 부여군(짝수년도)에서 교차 개최한다. 문주왕 웅진성 천도의식 및 행차, 백제왕조의 전성을 이루었던 4代王(文周王, 三斤王, 東城王, 武寧王)의 업적을 기리는 四왕 추모제, 5천명 이상이 참가하는 백제문화 역사대행렬 등 백제문화를 재현, 계승하는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개최시기 : 10월 11일 ~ 14일 (4일간)
개최기관 : 공주시/백제문화선양위원회
장소 : 공주시 일원
주요 행사장
[무령왕릉. 산성공원. 종합운동장. 선화당. 시내 중앙로. 문예회관 연문광장. 금강 둔치 공원]
후원 : 문화관광부, 충청남도, 한국문화예술진흥회
주요 축제행사
- 四王추모제 : 문주.삼근.동성.무령왕을 추모하는 유가식 제례
- 무령왕즉위식 : 천제 대관식 축하연회
- 개막식 : 모든 출연자가 함께하는 백제문화제의 축소판
- 역사대행렬 : 백제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 재현 가두 퍼레이드
- 웅진성수문병근무교대식(熊津城守門兵勤務交代式):금서루 일대 왕·왕비복식대여
- 백제혼불관련 행사 : 점화의식. 행진. 진혼제
- 상설 무대 공연 마당 : 공산성 특설무대
- 백제 불교 영산 대제:금강 둔치공원
- 왕도 터 닦기 큰 굿풀이:공산성 특설무대
- 지역 특산품코너 운영
- 민속체험마당 : 엽전치기 투호 외 8종
- 폐막식 : 수문병 철병의식, 백제 혼불행진, 백제혼불진혼식.
축제성격 : 역사를 주제로 한 종합 문화 축제
특기사항 : 46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 3대 축제의 하나
평균출현 인원 : 12,000명
武寧王)의 업적을 기리는 四왕 추모제, 5천명 이상이 참가하는 백제문화 역사대행렬 등 백제문화를 재현, 계승하는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진다.